콘크리트 유토피아 관람기.
2023년 8월 24일 오후6시
충무로 대한극장으로 향한다.
8월 9일 개봉한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좀 늦었지만 시간이 허락되어 관람을 하게 되었다.
재난 영화라 생각하고 보았는데 감정선이 많이 깔린 휴먼스토리다.
엄태화 감독작으로 가족중 형제인 엄태구도 비중 있는 조연으로 열연 하였다.
주인공 이병헌에 대한 나의 선입견으로는 인성이 그다지 별로라고 오해?를 하지만 연기 하나는 탑이므로 좋은 기대를 가지고 관람을 하였다.
어느날 갑자기 대지진이 서울을 강타 모든 시설이 무너지고, 땅에 묻히는 광경을 인트로로 보여 준다.
이병헌은 빌런이라 할수도 있지만 그건 트릭으로 택시 운전을 하며 간신히 가정을 유지하고 사는 소시민으로
차곡차곡 모아둔 돈으로 아파트를 매수하였는데 사기를 당한다.
사기꾼 찾으러 황궁 아파트에 가서 그 사기꾼을 마주 하고 옥신각신 다투다가 홧김에 살인을 한다.
그때 마침 대지진이 덮쳐 그 아파트에 발이 묶인다.
주변 모든 건물들은 파괴 됐는데 유일하게 이곳 황궁아파트 103동만 건재 하다.
이리 하여 이건물 콘크리트에 유토피아가 생긴 것이다.
주변에 목숨을 건진 생존자들이 하나, 둘 이곳으로 모여든다.
주변에선 추운 날씨에 그래도 이곳이 안주할수 있는유일한 곳이다.
입주민들의 생존권사수와 유입인들의 생명 유지와 부딛치는 상황이 처절 하다.
영화가 현실로 이뤄져 내가 그속 입주민이었다면 어떻게 했을까? 라는 의문부호가 상영내내 머리를 콕콕 찌른다.
인트로에 과한 설정과 전개 내용이 영화지만 현실과 너무 동떨어진건 좀 아쉽다.
역시 이병헌 - 두말이 필요 없는 연기자.
혼신을 다하는 모습에 박수를 보낸다.
공무원인 박서준과 간호사인 박보영 부부의 현실감 있는 연기.
대중 보통 사람의 생각과 행동이 이럴것 같은게 당연시 되는 상황을 잘 연출 하였다.
이병헌, 박서준 두 주인공 모두 죽음으로 마무리 하면서
박보영 부부와 입주민들이 품지 못했지만
또다른 작은 생존 마을 공간에서는
서로가 서로를 품어주고, 낮선 외지인인 박보영도 당연히 품어주는 유토피아를 보여주면서
영화가 끝을 맺는다.
좋은 영화를 만들어준 제작자 연기자 관계자 모든 분들께 감사함을 전합니다.
오늘도 비해피땡큐즐한 시간 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